본문 바로가기

실험실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

728x90
반응형

정확도(accuracy)는 측정값(measured value)이 참값(true value)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 타내며,

정밀도(precision)는 결과에 대한 재현성(reproducibility)을 나타낸다

 

 

정확도의 표현방법

정확도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는 절대오차(absolute error), 상대오차(relative error) 및 상대정확도(relative accuracy)가 있다

 

 - 절대오차(absolute error)

  참값과 측정값과의 차이는 부호를 포함하여 절대오차(absolute error)라고 하며, 측정값 과 같은 단위로 표현된다.

절대오차(absolute error) = 참값(true value) - 측정값(measured value) 또한 여러 측정값의 평균을 사용할 경우 평균오차(mean error)라고 한다.

 

평균오차(mean error) = 참값(true value) - 측정값들의 평균(mean of measured values)

 

 - 상대오차(relative error)

  상대오차는 절대오차나 평균오차를 참값의 비(ratio)로 나타내며, 상대오차백분율 (percent relative error) 또는 상대오차천분율(parts per thousand)를 사용한다.

 

상대정확도(relative accuracy)

 - 측정값이나 평균값을 참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정밀도의 표현방법

정밀도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는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평균의 표준오차 (standard error), 분산(variance),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및 퍼짐 (spread) 또는 영역(range)이 있다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평균의 표준오차( Sm, standard error of mean)

각각 N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복시료들이 모집단의 데이터로부터 마구잡이 로 선택되었다면 각 무리의 평균은 N 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적게 흩어질 것이며 각 평 균의 표준편차를 표준오차(Sm , standard error of mean)라 한다

표준오차는 평균을 계산하는데 사용된 데이터의 수 N 의 제곱근에 역비례 한다.

 

 - 분산(variance)

분산은 표준편차의 제곱으로 나타낸다.

 - 상대표준편차(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상대표준편차는 표준편차를 그 무리의 데이터 평균으로 나눈 것이다.

상대표준편차는 그 값이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백분율 또는 천분율로 나타낸다.

 - 변동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nce)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표준편차는 변동계수(CV , coefficient of variance)라고 한다

 

 - 퍼짐(spread) 또는 영역(range)

한 무리의 반복 측정한 결과의 정밀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그 무리의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 사이의 차이(W )로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 측정기 문제점 개선방법 및 관리 방법  (0) 2023.06.05
오차(error)의 종류  (0) 2023.06.01
유효숫자(significant figure)  (0) 2023.05.31
유해성 물질 포장과 라벨링  (0) 2023.05.18
시약 운반 및 보관 방법  (0)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