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도체 산업이 발전해 온 방향성을 먼저 알고 넘어 가자~
- "크기는 더 작게, 개수는 더 많이" 고집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
일반적으로 칩에서 집적화 수준을 집적된 트랜지스터의 수로 표현한다고 한다.

상기 표와 같이 ULSI 이후로 Super Large-scale integration (SLSI) 칩당 집적되는 소자 수 : >1,000,000,000 이 현재 기술 발전 현황이다.
유명하신 Moore 님께서 "칩의 집적도, 즉 칩 내의 트랜지스터의 수는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 라는 유명한 무어의 법칙을 발표하셨는데 위 표와 같이 실제와도 상당수 일치한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대학원 시절 미국 친구놈이 무어의 법칙을 알려주며 "반도체는 망하지 않는다 발전만 있을뿐"이라며 주식에 몰빵한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지금은 엄청난 부자가 되어 있겠지.... 잘사니... 연락좀 주렴... ㅋㅋㅋㅋ
또한 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칩이 소비하는 전력은 작아진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 시장에 막대한 영향)

728x90
반응형
'반도체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e metal mask (FMM) (1) | 2023.02.21 |
---|---|
포토레지스트 Positive Negative 타입 비교 (1) | 2023.02.15 |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g-line, I-line, KrF, ArF, EUV (2) | 2023.02.15 |
반도체 산업의 동향 및 전망 (0) | 2021.12.14 |
반도체 역사 (0) | 2021.12.13 |